2021- 2학기 교육학개론 강의계획안
교과목명 Course Title |
교육학개론 |
학수번호- 분반 Course No. |
ED100- 01 |
개설전공 Department/Major |
교육학과 |
학점/시간 Credit/Hours |
2학점 |
수업시간/강의실 Class Time/ |
수요일 8- 9교시(6시 30분부터 100분 수업)/ECC B150 비대면 수업으로 온라인수업(동영상 수업)으로 진행합니다.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수업은 예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상황이 좋아져서 대면수업을 실시하더라도 매 수업은 동영상 업로드하며 동영상시청 만으로도 출석 인정할 예정입니다. 대면수업은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사전 공지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
||
담당교원 Instructor |
성명: 최정희 |
소속: 교육학과 |
|
연락처: 02- 3277- 2611 |
|||
면담시간/장소 Office Hours/ |
이메일을 통한 면담 또는 사전 약속에 의한 면대면 상담 가능 |
1. 교과목 개요 Course Description |
||||||||||||||||
교육학의 주요 영역 즉 철학 분야, 심리학 분야, 사회학 분야, 교육과정학 분야, 행정학 분야 등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교육학적 소양을 갖도록 한다. 교육학의 본질, 교육학의 영역에서의 문제들을 탐구함으로써 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학의 주요이론을 구체적인 교육의 현장에 적절히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교육자로서의 교직 윤리를 형성하고 전문성을 함양하도록 한다. 그리고 최근 교육철학 흐름의 변화,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정책의 변화에 따라 수업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데 있어 학생 중심의 수업과 교육현장에 기반을 둔 수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
2. 선수학습사항 Prerequisites |
||||||||||||||||
본 강의는 선수과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
3. 강의방식 Course Format |
||||||||||||||||
(위 항목은 실제 강의방식에 맞추어 변경 가능합니다.) 강의 진행 방식 설명 (explanation of course format): 사이버 강의실은 수업 자료 게시 이외에도 과제물 게시, 보충 학습 자료의 게시, 그리고 수업 참여(주요 쟁점에 대한 토론의 장) 등 보다 활발한 수업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활용된다. |
||||||||||||||||
4. 교과목표 Course Objectives |
||||||||||||||||
1. 교육학의 주요 영역을 소개함으로써 교육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한다. 2. 교육학 관련 기본 개념과 이론들을 이해함으로써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3. 교사로서의 교직관과 교직윤리를 형성하고 전문성을 함양하도록 한다. 4. 좋은 수업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가지며 예비교사로서 현장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
||||||||||||||||
5. 학습평가방식 Evaluation System |
||||||||||||||||
(위 항목은 실제 학습평가방식에 맞추어 변경 가능합니다.) *그룹 프로젝트 수행 시 팀원평가(PEER EVALUATION)이 평가항목에 포함됨. Evaluation of group projects may include peer evaluations. 중간시험 40%, 기말시험 40%, 기말과제물 10%, 그리고 수업 참여(출석) 10%의 비율로 평가한다. 특별한 사정이 있는 지각, 결석의 경우는 강사에게 이메일 등으로 미리 통보하여야 한다. 성적은 절대평가입니다. 참고로 지난 학기는 총점 94점부터 A+성적(총점 90- 93 A0) 드렸습니다. 이 기준은 매학기 학생들의 성적 분포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중간시험이나 기말시험 중에 한 번이라도 불응시하거나 수업시간의 3분의 1 이상 결석한 때에는 F성적으로 처리된다. 기말 과제는 다음과 같다.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12가지 교육쟁점 중에서 관심 있는 2개의 교육쟁점을 선택한 후, 각 주제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여 A4용지 6쪽 이상 8쪽 이내(각 쟁점 주제 당 3쪽 이내, 의견은 1쪽 이상 제시할 것)로 제출한다. (10점) 제출된 페이퍼의 성적은 각 페이퍼 당(5점 만점) 상, 중, 하로 구분하여 5점, 4점, 3점으로 처리한다. 늦게 제출한 경우에는 1점을 더 감한다. 제출하지 않을 경우 0점 처리한다. 제출기한은 강사가 지정한 날까지 사이버 과제함에 제출한다. |
Ⅱ. 교재 및 참고문헌 Course Materials and Additional Readings
1. 주교재 Required Materials |
황규호 외(2020). 『교육쟁점으로 풀어쓴 교육학개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 부교재 Supplementary Materials |
김미환 외(2018). 『교육학개론』. 서울: 동문사. |
3. 참고문헌 Optional Additional Readings |
조경원 외(2006). 『교육학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의수 외(2008). 『교육의 역사와 철학』. 서울 : 동문사. 성태제 외(2014).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김경희 외(2014). 『교육학개론』. 서울: 집문당. 이형행(2011). 『교육학개론』. 서울: 양서원. 최금진 외(2015). 『교육학개론』. 서울: 양서원. |
Ⅲ. 수업운영규정 Course Policies
* 실험, 실습실 진행 교과목 수강생은 본교에서 진행되는 법정 ‘실험실안전교육(온라인과정)’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함. * For laboratory courses, all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lab safety training. 교생 실습 기간 동안 출석 인정됩니다. 교생 실습시 중간시험은 페이퍼로 대체합니다. |
주차 |
날짜 |
주요강의내용 및 자료, 과제(Topics & Class Materials, Assignments) |
1주차 |
9월 1일 |
교과목 및 수업계획안 소개 |
2주차 |
9월 8일 |
교육의 이해 (교재 1장 :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
3주차 |
9월 15일 |
교육사상의 발달 (1) 서양 교육사상의 발달 (부교재 2장 제2절) 서양의 전통교육철학과 서양교육사상의 발달에 대해서 알아본다. |
4주차 |
9월 22일 |
교육사상의 발달 (2) 현대 현대사상과 교육 (부교재 2장 제3절) 현대교육철학을 대표하는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실존주의에 대해서 알아본다. |
5주차 |
9월 29일 |
교육사상의 발달 (3) 후기 현대사상과 교육 (부교재 2장 제4절) 후기 현대사상 중에서 분석철학, 현상학, 해석학, 비판철학이 교육학에 미친 영향과 공헌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6주차 |
10월 6일 |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 (1) 인간의 이해, 인간발달과 교육 (부교재 6장 제1,2,3,4절) 아동의 인지적 발달뿐만 아니라 아동의 정서행동 발달, 도덕성 발달 등을 위한 발달이론을 학습한다. (교재 5장 : 학교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상담할 것인가) |
7주차 |
10월 13일 |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 (2) 학습이론 (부교재 6장 제 5절) |
8주차 |
10월 20일 |
중간시험 |
9주차 |
10월 27일 |
교육의 사회적 의미: (1) 교육과 사회의 관계, 사회적 불평등과 교육의 역할 : 거시적 교육사회학(부교재 제 4장 1, 2절) (교재 7장 학교는 ‘위대한 평등장치’인가) |
10주차 |
11월 3일 |
교육의 사회적 의미 : (2) 교육적 격차의 의미와 원인 : 미시적 교육사회학 (부교재 4장 제3절) (교재 11장 사교육 확대는 학교 실패의 증거인가) 학교에서의 학생의 학업의 실패를 개인이 아닌 집단의 문제로 설명한다. 학교에서 학생의 실패를 크게 기회, 결핍, 교육과정 모델로 설명한다. 교육적 격차의 의미와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계층의 문제와 관련하여 학교에서의 양성평등 교육과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한다. |
11주차 |
11월 10일 |
교육과정 : (1) 교육과정의 정의, 관점, 유형 (부교재 5장 제 1, 2, 3절) (교재 2장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
12주차 |
11월 17일 |
교육과정 : (2) 교육과정개발과 변천 (부교재 5장 제 4, 5절) (교재 3장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
13주차 |
11월 24일 |
교육행정 : (1) 교육행정의 이론의 발달, 교육행정의 기능, 학교조직관 (부교재 9장 제 1, 2절) (교재 6장 학교조직은 어떻게 구성·운영되는가) |
14주차 |
12월 1일 |
교육행정 : (2) 교육 지도력과 교육동기이론 (교재 9장 제 3, 4절) (교재 8장 : 교직은 전문직인가) (교재 9장 : 교직의 여성화는 우려할 현상인가) |
15주차 |
12월 8일 |
기말시험 |
Ⅴ. 참고사항 Special Accommodations
2 │
* 장애학생은 학칙 제57조의3에 따라, 학기 첫 주에 교과목 담당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출석, 강의, 과제 및 시험에 관한 교수학습지원 사항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한 사항에 대해 담당교수 또는 장애학생지원센터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강의, 과제 및 평가 부분에 있어 가능한 지원 유형의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실제 지원 내용은 강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According to the University regulation section #57-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request for special accommodations related to attendance, lectures, assignments, or tests by contacting the course professor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Based on the nature of the students’ request, students can receive support for such accommodations from the course professor or from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CSD). Please refer to the below examples of the types of support available in the lectures, assignments, and evaluations.
- Actual suppor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urse. |
* 강의계획안의 내용은 추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 The contents of this syllabus are not final—they may be updated.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