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p News

[기사] "음식물 쓰레기로 수소 만든다" ... 기후 변화 기술로 대응하는 산학

  • 김우재교수님연구실 관리자


(부산=뉴스1) 김민재 기자 = "그간 석탄이 하던 역할을 이산화탄소가 할 수 있게 하는 게 궁극적인 목표다"



페이동 양 UC 버클리대학교 교수는 17일 부산에서 열린 한국화학공학회 가을 총회에서 자신의 인공 광합성 연구 목적을 이같이 소개했다. 양 교수는 20년 넘게 인공 광합성을 연구해 온 이 분야 권위자다.

이날 학회에는 양 교수를 비롯해 연구자와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매진하고 있는 기후 위기 대응에 관한 기술을 논했다.

페이동 양 교수는 '24시간 사용할 수 있는' 인공 광합성 기술을 소개했다. 이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모방해 에너지를 만드는 기술이다. 태양 에너지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화합물을 합성한다.

양 교수는 태양광이 아닌 적색광으로도 광합성 효과를 내는 방법을 개발했다. 적색광은 식물이 광합성에 사용할 수 있는 특정 파장의 빛이다. 그는 "계속 가동할 수 있는 적색광은 (태양광보다) 합성 효율이 10배 이상 높다"고 말했다.


김우재 이화여대 교수는 생물연료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오늘날 수소는 대부분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수전해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물 분해 시 사용하는 전력은 태양광·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로 생산해야 한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상 재생 에너지 확보가 어렵다"며 "열화학 방법을 사용해 음식물 쓰레기나 폐플라스틱, 해조류 등 생물 연료에서 수소를 뽑아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반적 열화학 방법에선 수소를 추출하고 나면 이산화탄소가 나오는데, 저희는 잔여물에 알칼리 물질을 넣어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체 형태로 배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