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NOTICE
[학사]
[학부] 2024학년도 후기 학·석사 연계과정 선발 안내
2024학년도 후기 학·석사 연계과정 선발 안내 구분 신청자격 취득학점 요건 성적 요건 예비생 4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 4학기 이수한 휴학생 2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누계평점 3.3 이상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은 6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 6학기 이수한 휴학생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은 3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약학대학 약학과(약학· 미래산업약학전공)는 8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 8학기 이수한 휴학생 ※약학대학 약학과(약학· 미래산업약학전공)는 4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최종 선발생 조기졸업과정 6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 6학기 이수한 휴학생 3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누계평점 3.3 이상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은 8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 8학기 이수한 휴학생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은 4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정규졸업과정 7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 7학기 이수한 휴학생 3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누계평점 3.0 이상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은 9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 9학기 이수한 휴학생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은 4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약학대학 약학과(약학· 미래산업약학전공)는 11학기 이수중인 재학생 또는11학기 이수한 휴학생 ※약학대학 약학과(약학· 미래산업약학전공)는 5학년 수료학점 이상 취득 1. 지원자격 ※ 신청자격은 2023학년도 제2학기 현재 기준임 ※ 휴학생인 경우 선발 시 2024-1학기에 반드시 복학하여야 함 ※ 취득학점 및 성적 요건에는 2023-2학기 수강학점 포함, 2023학년도 겨울계절학기 제외 ※ 소속/입학년도별 학년수료 기준은 이화홈페이지→학사안내→학사정보→졸업→학년수료 참고 ※ 기타 지원 전공(학과)별 추가 자격 요건 충족 및 전공별 선발시행 사항은 첨부의 <2024학년도 후기 학·석사 연계과정 선발시행표> 참조 2. 지원서 접수 : 2023. 12. 4.(월) ~ 12. 29.(금) 지원 대학 행정실로 제출 3. 제출 서류 가. 학·석사 연계과정 지원서(첨부문서 참조) 나. 지도교수 추천서(첨부문서 참조) ※ 학생 소속대학 현 학부 지도교수의 추천서 첨부, 복수전공으로 지원하는 경우 주전공 및 복수전공의 지도교수 추천서 각각 첨부 4. 지원 가능 전공(학과) : 주전공(학과) 및 복수전공(학과) 5. 선발 결과 발표 : 2024. 2. 5.(월) 예정, 지원 대학 행정실을 통해 공지 6. 유의사항 가. 예비생 및 최종선발된 학생은 한 학기에21학점까지 수강 가능함(예비생은 1년간). 나. 예비생 선발자라도 학·석사 연계과정 최종선발에 지원하여 최종선발 되어야 학·석사 연계과정을 이수할 수 있음. 다. 예비생 선발자가 아니라도 최종선발 지원 가능 라. 학·석사 연계과정 조기졸업과정 최종선발자는 반드시 2024학년도 제1학기 조기졸업 신청을 하여야 함. 마. 최종선발생의 경우 학부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모두 이수하여야 하며, 이수하지 못한 경우 중도포기로 처리됨. 바. 대학원 진학 시기 : 2024학년도 후기(24년 9월) 사. 대학원 석사과정은 3학기에 졸업하지 못할 경우 4학기 이상 이수하여야 수료 및 졸업가능함. 아. 대학원 교과목 수강 - '학부생이 수강가능한 석사학위과정 교과목'으로 개설된 교과목에 한하여 수강 가능하며, 3학년 수료(공과대학 건축학전공은 4학년 수료, 약학대학 약학과·약학·미래산업약학전공은 5학년 수료) 후부터(누계평점 3.3 이상) 학사학위과정 중 12학점까지 신청 가능함. - 대학원 교과목은 6학점까지 학사학위과정의 졸업 또는 수료에 필요한 학점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나머지 학점은 6학점까지 석사학위과정 수료에 필요한 학점에 포함시킬 수 있음. ※ 석사학위과정 진입 후 첫 학기말 이전에 학점이전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함. 자. 최종선발 학기와 석사 진입 후 첫 학기는 휴학 및 자퇴 할 수 없음. 차. 학·석사연계과정생 장학금은 석사 진입학기의 기준에 따라 자동선발 및 통보되며, 3학기까지 졸업하지 못하는 경우 장학금을 반환하여야 함. 학·석사연계과정생은 일반대학원 입시를 통한 신입생 장학금 대상이 아님. 7. 문의: 지원 및 선발(학적팀(3277-2957) 및 지원 대학 행정실), 장학금(장학복지팀(3277-2834))
VIEW MORE- [학부] 2024학년도 후기 학·석사 연계과정 선발 안내 2023.11.28
- [등록금] 2023학년도 학부 겨울계절학기 등록금 납부 안내 2023.11.24
- [일반대학원] 2024-1학기 일반대학원 신입생 ‘최우수이화인 장학금’ 신청 안내 2023.11.24
- 영문 학부 졸업증서 및 일반대학원 학위기 수여 관련 영문성명 확인 및 변경 안내 / English Name Confirmation and Change for English Diploma 2023.11.23
- 2023 겨울 계절학기 스타트업 해커톤캠프 수강신청 안내 2023.11.23
- [학부] 2023학년도 겨울 계절학기 수강안내 2023.11.16
- [일대원] ★★ 2023학년도 제2학기 대학원 공인어학능력시험 성적표 제출 안내(~11. 28.(화)) 2023.11.14
- ESB International Office
- Career Care Center
- ESB in Media
고금리·고물가 속 ‘미래는 밝고 따뜻할 것’ 제시
2023년은 탈코로나 시대의 기대감과 함께 장기화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금리 인상, 증시 파동 등 긴장 상황의 연속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3년 광고그랑프리 수상작들은 ‘밝은 미래’와 ‘따뜻한 미래’를 선사함으로써 독자들의 마음을 기대감으로 부풀게 한다. 대상을 받은 SK텔레콤의 ‘SKT의 AI는 어디에나 있다, AI to Everywhere’ 캠페인은 미래 우리의 일상을 이끌어갈 인공지능(AI) 기술의 모든 곳에 SKT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줌으로써 AI 분야 No.1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자칫 차갑게 느껴질 수 있을 AI 기술이 SKT와 만나면 소외된 이웃에게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따뜻함’을 선사하는 대상 수상작이라 하겠다. 금상을 수상한 KCC의 ‘1등답게, KCC답게’라는 헤드카피와 국가대표 페인트라는 수식어는 대한민국 1등 브랜드의 자신감과 역량을 잘 담아내고 있으며, 손가락 위에 놓인 지구본과 ‘BORN To BE No.1’이라는 문구는 세계 시장을 향한 도전과 포부를 강렬하고 에너지 넘치는 색감과 질감의 광고로 잘 표현하고 있다. 은상 수상작 동화약품의 ‘국민생활건강 캠페인’ 광고는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겠다는 동화약품의 기업 미션을 공익광고로 표현함으로써 한층 더 깊은 신뢰를 갖게 한다. 자사 제품을 광고하는 대신 소중한 지면을 통해 국민건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화사하고 유쾌한 화면 처리를 통해선 우울해질 수 있는 질병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승화시키는 국민 지킴이 광고라 하겠다. 동상을 수상한 LS는 넷 제로 시대를 앞서가는 선두 기업의 이미지를 임팩트 있게 표현한 광고라 하겠다. 우주 공간에 첫발을 내딛는 큰 발자국은 자신들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 사업으로 탄소 배출이 없는 새로운 시대를 여는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다는 포부를 당당하게 표현하고 있다. 기업PR 대상작 SK이노베이션의 ‘그린픽쳐 캠페인’은 탄소 배출 없는 넷 제로 세상을 그린 그림으로 유머러스하게 표현하면서 혁신의 아이콘 SK이노베이션의 기업 정체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브랜드대상을 받은 현대자동차의 ‘SONATA The Edge’ 광고 역시 SONATA라는 오랜 브랜드를 The Edge라는 명칭과 ‘익숙함도 완전히 새롭게’라는 카피를 통해 새로운 기대감을 주는 동시에 뉴 브랜드로 다가가게 한다. 사회공헌대상을 받은 KB금융그룹 광고는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 새로운 통로로 ‘희망부자’들을 응원하고 육성하는 금융기업이 되겠다는 의지를 잘 표현해 주며, 크리에이티브대상을 받은 현대모비스 광고는 밝은 미래의 주역을 등장시킴으로써 더 즐겁고 안전한 미래 모빌리티를 이끌어가는 선도 기업의 이미지를 따뜻하고 크리에이티브하게 표현하고 있다. 은행, 증권, 카드, 화장품, 대학, 사이버대학 부문의 수상작들 역시 ‘미래’라는 키워드를 밝고 창의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각 부문의 선도 주자 위치를 확고히 해주는 작품들이라 하겠다. 2023년을 빛나게 해준 모든 수상작에 큰 박수를 보낸다. 박성연 교수 이화여대 경영학과
VIEW MORE- 고금리·고물가 속 ‘미래는 밝고 따뜻할 것’ 제시 2023.11.17
- 롯데 유통군, '5회 상전유통학술상' 시상식 진행 2023.11.16
- ‘작곡하는 경영학자’의 위로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화내지 마” [차 한잔 나누며] 2023.09.27
- “기술 가진 스타트업 대기업과 협업 성장”[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2023.09.08
- [칼럼] 마케팅의 설득과 부추김의 경계에서 2023.09.01
- [fn이사람] "카드사 플랫폼 전략 없이는 테크기업에 종속" 2023.08.31
- 20대 투자 심사역은 어떤 기준으로 기업을 고를까 2023.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