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충과목의 이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학생에 대하여는 학부장의 제청에 따라 전공지도교수가 수료학점 이외의 추가로 이수를 명할 수 있으며 부과 받은 학생은 3학기 안에 수강해야 한다.
석사과정 | 박사과정 |
---|---|
|
|
게임학이론 (Ludology) : 게임학의 개념과 적용 범위에 대해 이해한다. 게이미피케이션, 재미이론, 몰입이론, 페르소나 이론 등 동시대 게임 이론에 대해서 이해한다.
디자인스튜디오 (Design Studio) : 시각언어의 개념과 원리, 적용까지의 단계적 프로세스들을 익혀 융합 연구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을 쌓고 이를 문제 맥락에 맞춰 활용하는 응용 과제들을 진행한다.
인터페이스디자인연구 (Interface Design Study) : 디지털미디어의 발전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발전 현황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스마트 환경에서의 향후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사용자경험연구 (User Experience Study) :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용자중심 디자인의 방법을 연구한다.
혼합증강현실 (Mixed and Augmented Reality) : 실사와 가상의 이미지가 공간 시각 원리에 따라 이음새없이 혼합되는 3차원 혼합현실 및 증강현실 원리와, 기반이 되는 컴퓨터비전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게임스토리텔링개론 (Introduction to Game Storytelling) : 게임 스토리텔링의 개념, 영역, 장르, 층위를 개괄적으로 이해한다. 특히 개발자 스토리텔링과 사용자 스토리텔링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이해한다. 상호작용성의 유형에 대해서 분석한다.
미디어R&D관리 (Media R&D Management) : 미디어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는 다양한 R&D 형태를 분석하고, 유형별로 적절한 R&D관리방법을 연구한다. 특히 R&D관리에 있어서의 전략성 강화, 수요자 기반성 확대, 개방형 혁신관리 등의 최신 기법을 적용하여 R&D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한다.
디지털포토그라피 (Digital Photography) : 색상을 수치화하는 Color Space에 대해 공부하고 Display Gamma, Color Transfer Function, Color Matching의 개념에 대해 공부한다. 사물에서 반사된 빛을 이미지화하는 장치인 digital photography의 원리와 용어를 학습하고 사진이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학적, 공학적 개념들을 공부한다. 또한 사진 이미지를 가공하는 과정으로서의 image processing 기초를 학습한다.
스마트컴퓨팅 (Smart Computing) : 스마트 기기의 특성, OS 개념, 어플리케이션 모델, 서버 네트워크 연동,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실제 어플리케이션을 기획, 구현하는 실습 과제를 수행한다.
마이크로컴퓨팅 (Micro Computing) :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컴퓨팅 디바이스를 구현하면서 디지털 회로 이론 및 마이크로 프로그래밍을 공부한다. 각종 센서 및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경험해본다.
인간컴퓨터상호작용설계론 (Human Computer Interaction Design) :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기반을 이루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및 인터페이스 설계의 중요 요소와 기본 원리들을 이해하고 사용자 분석, 과업 및 맥락 분석 기법, 인터랙션 디자인을 학습하는 개론 과목이다.
데이터사이언스 (Data Science) : 소셜미디어나 모바일,인터넷 등 각종 미디어들을 통해 산재하는 데이터들은 단지 숫자가 아니라 ‘이야기’이다. 방대한 데이터들을 한 눈에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서의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학습한다.
스토리텔링과미디어기술 (Storytelling and Media Technology) : 소설, 영화, 시, 연극, 공연, 게임 등 스토리텔링의 여러 장르에서 미디어기술의 중요 개념들이 어떻게 창발되고 사용되며 발전되어왔는가를 살펴보고, 현재의 디지털스토리텔링과 미디어 기술의 결합 유형 및 응용에 대해 탐구한다.
소셜미디어컴퓨팅 (Social Media Computing) : 각종 소셜미디어의 특징과 유형, 다중문화적 특성, 사회적 지성, 팔로워의 가치 및 영향력 분석,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등 소셜미디어에 관한 전반적 연구분야와 현황을 학습한다.
문화연구와미디어기술 (Culture Study and Media Technology) : 문화 전반에 미디어 기술이 융합됨에 따라 디지털 시대의 문화와 사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강의에서는 특히 문화유산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을 중심으로 뉴미디어플랫폼의 활용방안을 탐구하고 학습한다.
융합미디어공학세미나 (Seminar on Convergence Media Engineering) : 융합미디어분야의 현황과 기반기술을 알 수 있는 대표적 연구들을 조사하고 발표와 토론, 관심주제의 심층 분석을 통해 융합미디어분야 주요 쟁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창의적융합미디어연구 (Creative Convergence Media Research) : 심리, 사회, 경영, 예술, 문화, 교육, 과학, 복지 등 다양한 분야와 IT 기술이 결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주제를 탐구하고, 주제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심도깊은 연구와 논문 작성 과정을 학습한다.
스토리모티브연구 (Story Motif Study) : 이야기 생성의 핵심 단위가 되는 205개 스토리 모티프의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발현 양상을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브랜드스토리텔링 (Brand Storytelling) : 산학 협력 프로젝트의 실제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형성과 브랜드 스토리 마케팅에 이르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전 과정을 실습으로 이해한다.
디지털스토리텔링세미나 (Digital Storytelling Seminar) :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개념, 범위, 요소, 유형을 이해한다. 특히 뉴 미디어와 스토리텔링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향후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내러톨로지와구조주의 (Narratology and Structuralism) :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함께 발전 중인 ‘새로운 서사(new narrative’에 대해서 이해한다. 이때 구조주의 이론을 적용해 동시대 문화 현상을 통합적인 체계로 인지하고, 새로운 틀을 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문화기호학 (Cultural Semiology) : 동시대 현대인을 둘러싼 다양한 문화 텍스트의 코드와 기저체계를 이해한다. 정보 콘텐츠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기호학적으로 심도 높게 분석한다.
대중문화론 (Pop-Culture Study) : 동시대 대중 문화의 코드와 기저체계를 이해한다. 매체와 대중문화의 상관관계와 발전 방향을 이해한다. 나아가 적극적인 사용자 참여 문화와 팬덤에 대해서 분석한다.
콘텐츠전략과기획 (Contents Management and Planning) : 실제 콘텐츠를 기획 개발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을 이해한다. 콘텐츠 기획 실습을 통해서 차세대 콘텐츠 기획을 위한 전략을 구축하고 모델을 제시한다.
UX스튜디오 (UX Studio) : 서비스 개념에서 피지컬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프로세스를 설계하며, 산업체와의 협동 작업을 통해 현장의 요구를 연구과정에 적용시켜 현실성 있는 결과물을 도출한다.
디자인연구방법론 (Design Research Methods) : 디자인 분야에 적합한 연구 방법론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의 질적 향상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미디어정책세미나 (Media Policy Seminar) : 국내외 미디어정책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와 사례 토의를 위하여 세미나 형식의 과정을 개설한다. 정책의 형성, 수행, 평가 과정별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미래 미디어정책 입안과 연계시키는 연습을 한다. 증거기반의 정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모바일프로그래밍 (Mobile Programming) :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 관련 기술 현황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모바일 기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을 학습하고, 실제 어플리케이션 구현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그래픽스와가상현실 (Computer Graphics and Virtual Reality) : 3차원 가상환경을 이루는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기술의 기초로서, 계산학적 모델링 및 기하변환, 빛/색채/텍스쳐의 실시간 표현기법을 공부하고 가상현실의 다중감각적 상호작용 및 디스플레이 기법 등을 다룬다.
미디어콘텐츠개발론 (Media Contents Development ) : 융합콘텐츠 생성 또는 분석에 필요한 개발전략과 프로그래밍 환경 또는 도구를 학습한다. 융합미디어의 발전에 맞추어 개설시마다 C/C++, ObjectiveC, Java, Javascript, html5, Matlab, Processing, Ruby, R 등 다루는 언어는 변경될 수 있다.
스마트앱프로토타이핑 (Smart App Prototyping)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모바일 앱은 생활 전반에 걸쳐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융합분야에 응용하는 스마트 모바일 앱을 기획해보고, 이에 기반한 프로토타입 구축 및 테스트 과정을 학습한다.
인공지능개론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 컴퓨터 지능, 즉, 인공지능에 대한 기초 교과목임. 지능형 에이전트, 플랜 생성, 지식 표현 및 추론과 더불어 컴퓨터 스스로 학습하는 머신 러닝의 통계적 기법들의 개념과 응용을 학습한다.
미디어분석통계론 (Media Analysis and Statistics) : 뉴미디어 데이터들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과 도구를 학습한다. 다변인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요인분석 및 통계 프로그래밍 등을 포함한다.
서사철학 (Philosophy of Narrative) : 서정, 서사, 극의 양식에서부터 신화, 전설, 민담, 서사시, 소설, 만화, 영화, 게임의 장르론을 자아와 세계, 근대성, 시공간복합성 등의 철학적 개념으로 검토하고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철학적 쟁점들을 연구한다.
인터랙티브스토리텔링프로젝트 (Interactive storytelling project) : 스마트 모바일 콘텐츠 및 온라인 게임의 스토리텔링 프로젝트를 산학연계로 추진하면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기획에서부터 현장 마케팅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해 연구한다.
영화애니메이션스토리텔링 (Movie Animation Storytelling) : 현대 영화 및 애니메이션을 시나리오 저작에서부터 프리프러덕션 단계의 시각화까지를 연구하고 디지털 기술의 적용 사례를 통해 창작의 보편적인 법칙성에 접근한다.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개론 (Introduction to Transmedia Storytelling) :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 요소, 영역, 장르, 향후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이해한다. 매체간 융합, 콘텐츠 간 융합에 대한 통찰력을 기른다.
스토리환경분석 (Story Environment Analysis) : 스토리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외재적 요소들을 이해한다. 기술적, 매체적, 패러다임적 환경 요인을 추출하고, 이러한 외재적 요소와 스토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사용자생성콘텐츠연구 (User Experience and Contents Study) : 창작 주체로서의 사용자에 대해 이해한다.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분석한다. 차세대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모델을 연구한다.
융합미디어와비평적글쓰기 (Convergence Media and Critical Writing) : 미디어의 융합과 이에 따라 파생되는 다양한 문화 텍스트를 분석한다. 융합 미디어를 통해 나타난 콘텐츠를 대상으로 비평적 글쓰기를 한다.
융합콘텐츠스페셜프로젝트 (Special Project for Convergence Contents) : 집단지성의 창작 방법론을 적용해 다양한 융합 콘텐츠를 실험적으로 기획 개발한다.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평가 방법론을 연구한다.
매체경험디자인연구 (Media and Experience Design) : 매체로부터의 사용자경험뿐만 아니라, 사용 맥락을 중심으로 하는 사용자경험 디자인에 대해 연구한다.
디자인평가방법론 (Design Evaluation Methods) :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평가 방법론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결과물의 질적 향상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기술기획관리 (Technology Planning & Management) : R&D 정책방향 및 기술기획에 대한 기본지식과 기술기획/관리 체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략적 연구개발에 있어서 보다 명확한 목표설정과 체계적 연구수행을 위한 연구기획 방법론 및 사례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환경의 불확실성과 변화 방향에 따라 기술개발의 방향과 전략을 차별화하는 개념과 방법을 연구한다.
미디어특별연구 (Special Study of Media) : 미디어와 관련한 특정 주제를 선정,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연구 분석한다.
고급연구방법론 (Advanced Study of Research Methods) :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필요한 정량적 분석방법을 배운다.
특수주제연구 (Special Research Topics) :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을 공부한다. 문헌 조사를 통하여 연주 주제를 선정하고, 기말 논문을 작성한다.
미디어테크놀로지특강 (Special Topics in Media Technology) :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에 관한 토픽들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 발전시킬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
감성디자인연구 (Emotional Design) :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에 대한 연구를 사용성의 측면에서 진행하고,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 한다.
디자인과심리 (Psychology for Design) : 디자인의 많은 부분은 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심리학에서 논의되어 지는 많은 것들이 디자인 작업에 실제적으로 반영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심리학 이론에 대한 이해는 좋은 디자인을 위해서는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본 교과목에서는 심리학의 다양한 이론을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소개하고 토론하여 디자인 활동에 구체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인터넷프로그래밍 (Internet Programming) : 인터넷 응용을 위한 자바 또는 ActiveX, ASP, PHP, Flash, Python, C# 등의 프로그래밍 기법 중 일부를 선택하여 강의한다.
응용스튜디오 (Application Studio) : 학습한 그래픽스, 영상처리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할 응용분야를 선정하고 도메인 분석, 응용 시스템 설계 및 제작을 통해 실습 능력을 배양한다.
첨단인터페이스기술 (High-Tech Interface Technology) : 웹에서 모바일과 가상현실, GUI에서 영상인식, 음성인식, 동작인식에 이르기까지 디지털매체의 발전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발전과정과 종류, 특징을 이해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따른 향후 인터페이스의 기술 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미디어의쟁점 (Issues on Media) : 미디어 작업에서 사회문화적으로 부각되는 주제들을 검토하는 과정이다. 역사적인 것에서부터 동시대적인 것 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선별, 논의한다.
미디어기술사회 (Media Technology Society) : 미디어, 기술, 사회 각각의 합으로서 수평적 융합을 통해 파생되는 다양한 연구분야를 수용하며, 미디어의 기술진보성과 사회수용성, 뉴미디어 발전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기술과 사회적 측면의 전략요소와 영향관계 분석, 미디어 관련 기술들의 도입·확산과 활용 전략 등을 연구한다.
미디어산업과기술정책 (Media Industry & Technology Policy) : 미디어를 위시한 새로운 성장산업 및 서비스산업 분야에서의 산업조직, 혁신의 과정과 요소, 주체와 전략 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산업의 발전방향과 바람직한 미래 모습을 연구하고, 그 달성을 위한 주체간 역할분담, 전략적 방향 설정과 정책적 수단의 발굴 및 효과분석 등을 이론과 사례를 통해 연구한다.
과학예술융합논제 (Issues on SciArt Convergence) :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인문사회 등 다양한 분야간의 교류와 공유를 통한 실질적인 융합정신의 실체를 분석하면서, 이들 분야를 아우르는 다양한 연구주제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담론을 토대로 체계적인 분석과 사례연구 및 토의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미래사회의 발전전망에 따라 과학-예술 융합의 방향과 전략을 설정하는 개념과 방법을 연구한다.
음악인터페이스 (Musical Interfaces) : 본 수업에서는 음악 연주 및 멀티미디어 공연을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제작 및 활용을 공부한다. 특히 인터랙션 디자인, 시청각 데이터 매핑 및 새로운 공연 패러다임에 초점을 맞춘다.수강생은 물리적 인터랙션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고, 예술적 활용을 목표로 하는 데이터 매핑 기법을 연구하며, 최종적으로 자신들이 제작한 인터페이스로 소규모 공연을 시행한다.
멀티미디어음향기술 (Sound Technology for Multimedia Applications) : 본 수업은 디지털 오디오 기술의 이론 및 실제를 다룬다. 수업의 주요 주제로 (심리)음향학의 기초, 디지털 신호처리, 음원 분석/합성, 오디오 엔지니어링 및 공감각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매핑 등을 공부하며, 과학 및 예술 분야에의 응용을 목표로 한다.
오디오및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 (Audio and Multimedia Programming) : 본 수업에서는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공부한다. 통합 개발환경(IDE)과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등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시작으로 GUI 디자인, 오디오 플러그인,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 모바일 프로그래밍 등을 다룬다.
콘텐츠창작세미나 (Seminar on Content Creation) : 다양한 미디어의 스토리텔링 지형도를 파악, 스토리텔링의 심층부에 흐르는 스토리 생성원리를 다학제적으로 검토하고 스토리 생성 다이어그램을 도출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매체 시대 스토리 창작을 위한 창조적 역량을 강화한다.
영상콘텐츠와컴퓨터비전 (Visual Content and Computer Vision) : 본 교과의 목표는 영상 콘텐츠와 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및 딥러닝 기반 컴퓨터 비전 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실전 응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영상콘텐츠 인식, 객체 탐지 및 추적, 3차원 영상 분석 등에 대한 이해를 다루고 각종 콘텐츠 서비스 응용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텍스트콘텐츠마이닝 (Text Content Mining) : 본 교과는 텍스트 콘텐츠 마이닝에 대한 이해와 실전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텍스트 크롤링과 데이터 전처리, 문서 분류와 주제 모델링, 감성분석, 정보 추출과 요약, 군집화 등 다양한 기술과 알고리즘을 통한 콘텐츠의 의미 도출 방법을 학습한다.
생성적인공지능 (Generative AI) : 본 교과목은 생성적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실전 기술을 제공함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생성 모델링, 자연어 처리, 이미지 생성과 변환, 스타일 전이, 비디오 생성 등 창의적 작업에 사용되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 동향을 탐색하고 이를 적용해 창의적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AI특론 (Special Topics in AI) : 본 교과는 수강생들의 관심 주제 중심으로 최신 인공지능 기술 동향 및 사례에 대한 심층연구와 분석을 수행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해당 주제 인공지능 기술의 미래 발전 방향 및 개선방안을 탐색케 한다.
AI콘텐츠와프롬프트엔지니어링 (AI Content and Prompt Engineering) : 본 교과는 프롬프트 기반 AI 콘텐츠 생성을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실전 응용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 요구에 맞는 생성 모델의 선택과 프롬프트 요소와 디자인 요령, 프롬프팅 기법의 종류들을 학습하고 오용과 위험요인에 대해서도 학습하며,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모델과 프롬프트를 통해 콘텐츠를 생성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대화형에이전트 (Conversational Agent) : 본 교과는 챗봇과 같은 대화형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전 기법을 다룬다. 인간의 대화 이해, 대화 모델링, 자연어 처리, 상태 관리와 추론, 응답 생성 등을 포함한다.
버츄얼스토리텔링 (Virtual Storytelling) : 다양한 유형의 가상 세계와 가상 캐릭터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한다.
고급텍스트프로세싱 (Advanced Text Processing) :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 최근의 자연어 처리 및 딥러닝 방법론을 학습하고 연구한다.
상기 정보는 변동 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학과행정실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