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과 건축도시시스템공학전공

스마트도시공간계획연구실


스마트도시공간계획연구실은 도시계획 및 공간계량분석을 기반으로 도시공간의 변화와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공간계량경제학(Spatial Econometrics), 다층적 공간패널 분석,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공간 분석을 활용하여 도시 내 사회경제적 불평등, 주거환경 만족도, 이동성,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간 요인의 정량적 영향을 규명한다. 

주거유형 변화, 통근시간 증가, 복지시설 배치 등 도시요소의 미시적 변화가 계층별 사회경제적 지위와 행복, 이동성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시계획 및 정책 설계에 필요한 공간적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고해상도 공간패널 데이터 및 도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규모 재해 및 재난(예: COVID-19, 기후재난, 미세먼지 등)이 도시경제 및 지역사회의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미치는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공간적 불평등 심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시티(Smart City) 계획, 지속가능한 도시개발(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및 사회적 포용성 증진을 위한 공간계획의 학술적 근거를 마련하며, 실증적 분석을 통해 도시공간구조의 변화가 지역사회의 복지와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ICT기반의 모니터링과 컨트롤을 통해 도시 거주자와 도시인프라 사용자의 안전, 건강,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람 중심의 도시시스템 구축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