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개요 및 역사

생리학은 인체의 기능적 특성과 그 조절 기전을 탐구하는 기초 의학의 핵심 분야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은 1945년 10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김동준 교수가 행림원 의학부 교수로 부임하면서 창설되었다. 

이후 김철, 이태준 교수에 이어 1955년 11월 김구자 교수가 부임하였다. 김동준 교수는 한국인의 기초대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1982년 8월 정년퇴임하였다. 김구자 교수는 생리학 강의 및 연구뿐만 아니라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선에도 기여하였고, 대한의학교육협의회 회장, 여자의사회 회장, 대한생리학회 회장을 역임한 후 1994년 8월 정년퇴임하였다. 

1985년 9월에는 하종식 교수가 부임하여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으며, 2005년에는 대한생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2009년 8월 정년퇴임하였다. 

1994년에는 이지희 교수, 1995년 9월에는 서석효 교수, 그리고 이선희 교수가 각각 부임하였다. 이선희 교수는 2001년에 퇴임하였으며, 서석효 교수는 심혈관 생리와 관련된 이온채널 연구에 매진하였고, 의과대학 교무부학장 등을 역임한 뒤 2023년 8월 정년퇴임하였다. 

이지희 교수는 폐 손상 및 섬유증의 병태생리 기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였고, 의과대학장/의전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21년에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2025년 2월 정년퇴임하였다. 

2008년 3월 최윤희 교수가, 2012년 3월 박성희 교수가, 그리고 2025년 3월에는 조아라 교수가 각각 부임하였고, 현재 생리학교실에는 최윤희, 박성희, 조아라 교수 등 총 3명의 전임교수가 재직 중이다.

교육 및 연구활동

  • 분자세포생리학, 의학총론, 인체조직과 생리 I, II, 대사와 영양 및 신경계통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교육과정을 담당
  • 일반대학원과정에서는 생리학최신지견 I, II, 생리학세미나 I, II, 병태생리학 최신지견, 세포생리학, 실험생리학, 생리학실습, 자연면역실험기법,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 I, II을 개설하여 생리학 분야를 총론과 기관별로 구분하고 최근 지견과 동향을 토론 강의함.
  • 최윤희 교수: 퇴행성 뇌질환, 암 및 자가면역질환 등 만성 질환에서의 생리적 조절기전 및 내인성 방어기전을 연구
  • 박성희 교수: 질병의 치료 타겟으로서의 이온채널과 운반체의 기능에 관심이 많으며 이와 관련하여 상피세포질환 및 혈관질환의 발병 메커니즘을 연구
  • 조아라 교수: 질병 진단과 항암치료 예후 분석을 위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분석하여 질병의 분자적 기전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연구

교수진 소개

교수진 소개성명, 세부전공, 연락처, 이메일, 상세보기로 구성된 교수진 소개를 나타내는 표
성명 세부전공 연락처 이메일
최윤희 분자세포생리학, 병태생리학, 신경생리학
02-6986-6176 yc@ewha.ac.kr
상세보기
박성희
(주임교수)
분자세포생리학, 이온통로 및 운반체생리학
02-6986-6181 sp@ewha.ac.kr
상세보기
조아라
분자세포생리학, 시스템생리학, 화학생물학
02-6986-6304 alajo@ewha.ac.kr
상세보기

교실 연락처

  • 문의 : 02-6986-6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