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석사 학위

학위 논문 목록


교과목 소개학수번호,교과목명,소개로 구성된 이화여대 교과목 소개에 대한 표
이름(연도) 논문 제목
고경은(2012. 2.) 이독성 공식의 보완을 위한 학습자 배경지식 위계화 방안 연구
김보람(2012. 2.) 자국어 교육과정 국제 현황과 핵심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 통합 방안
김지희(2012. 2.) 자율적 독서 능력 신장을 위한 독서정보 제시 체계화 방안 연구
문영은(2012. 2.)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 내용 연구: 연설 텍스트의 이중 부정 표현을 중심으로
이소라(2012. 2.)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조인경(2012. 2.)
감성적 합리성을 도입한 토론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은홍(2012. 8.)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 연구: 김춘수 시를 중심으로
공혜림(2013. 2.) 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텍스트성 재개념화 연구
김규연(2013. 2.) 생태학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생태소설 교육 연구
김선경(2013. 2.) 국어 교사의 수업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수업 비평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정(2013. 2.) 광고기획 전략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모형 개발 연구: 쓰기 전 단계를 중심으로
김현진(2013. 2.) 중등 학습자의 청소년소설 수용 연구: 자아인식 확장을 중심으로
류수경(2013. 2.) 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심현아(2013. 2.)
문법 교육어로서의 문법 용어 사용 원리 연구
오은하(2013. 2.)
중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유진현(2013. 2.)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내용 연구
윤희성(2013. 2.)
공공문식성을 고려한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개발 방안 연구: 의약품 설명서를 중심으로
정수민(2013. 2.)
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조성윤(2013. 2.)
인성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고전교술산문교육 연구: 『조선왕조실록』 자료를 기반으로
최화영(2013. 2.)
청소년 언어 사용에 대한 사례 연구
박유진(2013. 8.) 고전소설 문식성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 연구
변경가(2013. 8.) 계량적 작문 평가를 위한 자동 작문 평가의 기준 분석 연구
Ding, Boya(2013. 8.)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중 전기문 교육 비교 연구
김명은(2014. 2.)
영웅소설의 환상성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 연구: 「홍계월전」을 중심으로
문선영(2014. 2.)
타자 지향적 주체 형성을 위한 시 교육 연구: 여성시를 중심으로
박수현(2014. 2.)
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 연구: 학습독자의 정서 체험 양상을 중심으로
윤호경(2014. 2.)
불안의 기분에 기반한 현대시 교육 연구: 윤동주 시를 중심으로
Cui, Wenjuan(2014. 2.)
한시 화답 문화 이해를 통한 한·중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 교육 연구: 『시화총림』에 나타난 소통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공주희(2014. 8.) 공감적 이해를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김도희(2014. 8.)
국어과 교과서 읽기 단원 텍스트 복잡도의 과제 요인 상세화 연구
박서영(2014. 8.)
문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신정원(2014. 8.) 국어 구문 도해의 문법교육사적 전개 양상 연구
진영희(2014. 8.) 시조 작가와 화자 관계의 교육적 의미 연구: 정철의 시조를 중심으로
강영주(2015. 2.) 시적 주체 개념을 통한 현대시 교육 연구
김다예(2015. 2.) 국어 혼종어 교육 내용 연구
최수진(2015. 2.)
시 감상에서의 심미적 체험 연구: 중학생 학습독자의 체험 양상을 중심으로
편지윤(2015. 2.)
프레이밍 기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연구: 시선추적기법 및 내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황성혜(2015. 2.)
사설시조의 정서 체험 교육 연구
송소연(2015. 8.) 국어 내포문 교육 내용 연구: 중등 학습자의 내포문 구성 및 인식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전현선(2015. 8.) 흥취(興趣)를 중심으로 한 강호가사(江湖歌辭) 교육 연구: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를 중심으로
LIN, JING(2015. 8.) 중국의 한국 문학 교재에 구현된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제재 선정과 활동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김한영(2016. 2.) 조선 후기 자연시조 교육 방안: 『청구영언』, 『가곡원류』를 중심으로
최유정(2016. 2.) 중학생 독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및 교육 연구
JIAN ZITING(2016. 2.) 한·중 고전시가 교육 비교 연구
REN YUTONG(2016. 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LI, SHASHA(2016. 8.)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한·중 비교 양상을 중심으로
SURIYANONRIN, ORNJIRA(2016. 8.) 태국 내 자기주도학습용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WANG, DI(2016. 8.)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연구: 『조선어문』교재 어휘집의 표기 양상을 중심으로
김지은(2017. 2.)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 교육 연구 :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변은지(2017. 2.)
중학생의 독해부진 진단을 위한 비형식적 평가 준거 개발 연구
이소라(2017. 2.)
비판적 수용을 통한 생태시 읽기 교육 연구
이혜인(2017. 2.)
중학생 책맹(aliteracy) 독자의 읽기 동기 신장 방안 연구
장서정(2017. 2.)
체면 관련 전략 중심의 높임법 교육 연구
정서진(2017. 2.)
다문화 감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하명진(2017. 2.)
인성 관련 역량 향상을 위한 현대시 교육 내용 연구
SHANG, XIANGZI(2017. 2.)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방안: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은정(2017. 8.) 청소년 언어자료를 활용한 어문생활사 교육 내용 구성: 팬레터를 중심으로
이경화(2017. 8.) 북한이탈청소년들의 허구적 자전 서사 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이봉실(2017. 8.) 고등학생의 독서 가치 양상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ZHAO, QIDI(2017. 8.) 한·중 고전 여성영웅서사 교육 비교 연구
노아(2018. 2.)
국어 화자의 국어인식 양상에 기반한 국어 규범 교육 방안 연구
DAI, WENJING(2018. 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격형용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LIU, LIN(2018. 2.)
그림책을 활용한 중국인 대상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연구
LIU, QIAN(2018. 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요청화행 사용 양상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재 재구성 방안 연구: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ZHAO, WANG(2018. 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 읽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은주(2018. 8.) 중등 국어과 학습자를 위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 연구
DUAN, LIAN(2018. 8.) 비교문화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해 양상 연구: 한국어 교재의 예시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HUANG, YABING(2018. 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정 어휘 교재 개선 방안 연구: 한·중 한국어 교재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JIN, XIN(2018. 8.)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연구: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중심으로
SHEN, LINGYU(2018. 8.)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소리 내어 읽기 양상 분석 연구: 의미단위로 끊어읽기를 중심으로
LI, KUNXIU(2018. 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교육의 상호문화교육 내용 연구
LI, XIN(2018. 8.)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 내용 연구: 한·중 언어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LIU, YING(2018. 8.) 한·중 고등학교 항일 저항시 교육 비교 연구
LONG, YING(2018. 8.) 생태의식 비교를 통한 한·중 생태문학교육 연구: 중학교 국어(语文) 교과서 수록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PIAO, RUNRONG(2018. 8.) 한·중 소설 비교를 통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 소설교육 방안 연구: 강경애와 샤오홍(蕭紅)을 중심으로
WEI, SHIQI(2018. 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교재 개발 연구: 제재 선정을 중심으로
ZHANG, XIAO XIAO(2018. 8.)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 발음 교재 구성 방안
ZHUO, LA(2018. 8.) 한국·중국 내몽골 성장소설 교육 비교 연구: 중학교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윤예전(2019. 2.)
화자의 세계 인식을 기반으로 한 가사 교육 연구: 유배가사를 중심으로
HUA, NGUYEN MINH THAO(2019. 2.)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JINSIRIWANICH, WANITCHA(2019. 2.)
한국어 전공 태국인 대학생을 위한 한국 설화 교육 연구: 제재 선정 및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LAN, YING(2019. 2.)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어휘 교육용 앱 개발의 기초 연구
LUAN, JIALIN(2019. 2.)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시사 교재의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NIU, XINYING(2019. 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 방안: 한·중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TAN, SUDI(2019. 2.)
한·중 대학입학시험 고전문학 문항 비교 연구: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박지혜(2019. 8.)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바라본 고전소설 교육 방안 연구: 구운몽을 중심으로
CHEN, LIN(2019. 8.) 초급 한국어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을 위한 시각적 자료 개선 방안 연구
CHEN, PAN XIAO(2019. 8.)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영화 활용 현대소설교육 방안 연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및 『두근두근 내 인생』을 중심으로
CONG, RONG(2019. 8.) 중국 윈난(雲南)성 쿤밍(昆明) 방언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GONG, QIU(2019. 8.) 한·중 고전소설 교육의 위계성 비교 연구: 한국 『국어』·『문학』 교과서와 중국 『어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LIN, WANWAN(2019. 8.)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 방안 연구: 형식 스키마의 활용을 중심으로
LIU, NANYANG(2019. 8.)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지식을 활용한 읽기 전략 사용 양상 및 교육 내용 연구: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 비교를 중심으로
SHEN, LI(2019. 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웹툰 <미생>을 중심으로
SUN, YUWEI(2019. 8.) 중국 『조선어문』의 고전시가 교육 연구: 한국 국어과 교과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XIONG, WANLIN(2019. 8.) 한·중 신조어 비교를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연구: 2015년 신조어를 대상으로
YU, ZHUOHAN(2019. 8.)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초인지적 읽기 전략 교육 연구
ZHANG, YUMENG(2019. 8.)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정보전달 글쓰기 지도 방안: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FANG, MINGAN(2020. 2.)
동물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중 문화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GU, FENHUI(2020. 2.)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현대소설 교육 비교 연구
HAN, XIAONA(2020. 2.)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과제 해결을 위한 LESC 독해모형을 중심으로
LI, CHUNYUN(2020. 2.)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LI, YING(2020. 2.)
오디오북을 활용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LIN, JIAO(2020. 2.)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 연구
LIU, LU(2020. 2.)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비유 중심의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SONG, SHUANG(2020. 2.)
동화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할머니를 따라간 메주」, 「마당을 나온 암탉」을 중심으로
SONG, XINYU(2020. 2.)
한·중 고급 한국어 교재의 문학 학습활동 비교 연구
XU, XIAOJUN(2020. 2.)
한국 현대 풍자시를 활용한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중심의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YE, HENG(2020. 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술문 고쳐쓰기 연구: 오류 기반 자기 점검표 이용을 중심으로
AI, XIAOLI(2020. 8.)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친족 호칭어 교육
CAO, JIUZI(2020. 8.)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미각형용사 등급별 교육 방안 연구
FANG, JIAJUN(2020. 8.) 교수자 발문의 비계 설정 양상 분석을 통한 한국어 읽기 교재 질문 상세화 방안 연구
LI, ZIYI(2020. 8.) 한중 고등학교 국어·어문(語文)과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MAO, YUWEI(2020. 8.)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개선 방안 연구: 주장하는 글쓰기 단원을 중심으로
NIU, LEI(2020. 8.)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설득 화행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PANG, YUENING(2020. 8.) 중국의 중등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톈진 제41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WU, SIYI(2020. 8.)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집중-확장형 읽기(I-ER) 과제 구성 방안 연구
XU, XIALIN(2020. 8.) 허구적 화자 중심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 한·중 중학교 시 교육을 중심으로
ZHANG, TENGYUE(2020. 8.)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학 관련 문항 분석 연구: 텍스트의 난이도 및 문항의 이해 능력 평가 특성을 중심으로
DENG, SHIYUN(2021. 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수량 표현 교육 위계화 연구
FENG, WEIWEI(2021. 2.)
온라인 수업 동영상 분석을 통한 한·중 한국어 교사의 문법 수업 비교 연구
KAEWMANEE, PODJANEE(2021. 2.)
태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표현 확장 의미 이해교육 방안 연구
XU, SHIHAN(2021. 2.)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고려가요 <가시리>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YE, MENGNA(2021. 2.)
애니메이션 동화 스토리 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YE, YUQIAO(2021. 2.)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반복 읽기를 활용한 사실적 읽기 교육 방안 연구
ZHAI, YING(2021. 2.)
카드뉴스를 활용한 한국어 신문 기사 읽기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ZHAO, JUANQI(2021. 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언어적 표현 교육 방안 연구
이진우(2021. 8.) 시적 인식의 확장에 기반한 현대시 읽기 교육 내용 연구
임선영(2021. 8.) 현대시 리듬 교육 내용 연구
임혜린(2021. 8.)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 연구
CHEN, HANLI(2021. 8.) 청소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CHEN, JIE(2021. 8.)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사동 동형동사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DONG, XIAOHUI(2021. 8.) 한·중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설명적 텍스트 읽기 교육내용 비교 연구
HAO, XINYI(2021. 8.)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의 상징 어휘 교육 연구: 윤동주 시의 상징 어휘를 중심으로
JIN, XIANYAN(2021. 8.)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중국『조선어문』교재 개선 방안 연구: 문학 단원의 제재와 활동을 중심으로
LI, YAN(2021. 8.) 한·중 고전 이별시가 교육 비교 분석 연구: 한국 『국어』·『문학』 교과서와 중국 『어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LU, YUNTING(2021. 8.) 한·중 성장소설 비교를 통한 소설교육 방안 연구: 중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PANUMMA, SIYAPHA(2021. 8.) 태국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 개선 방안 연구: 문법 용어 인식 및 사용을 중심으로
SUN, BIYANG(2021. 8.)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TIAN, YE(2021. 8.)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고전소설 <구운몽> 교육 방안 연구: 중국 대학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WANG, QING(2021. 8.) 최신 유행어 소개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내용 연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WU, KEFAN(2021. 8.) 현대소설을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 교육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XU, ZHEN(2021. 8.)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상호텍스트적 관계 형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ZHOU, XIAOMIN(2021. 8.)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 연구
Lei, Qiying(2022. 2.)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완곡 표현 개선 방안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HUI, SIRAN(2022. 8.) 성평등 교육을 위한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의 여성 이미지 비교 연구
RADNAEVA, ARIUNA(2022. 8.) 한국어 '마음'과 러시아어 'душа[두샤]'의 개념적 은유 비교를 통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러시아어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YANG, FAN(2022. 8.)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텍스트의 양식(Mode)을 중심으로
장윤실(2023. 2.)
국어생활사 교육 자료의 실제성 강화 방안 연구: 『규합한훤』류를 중심으로
차보경(2023. 2.)
국어 교사의 문법 교수 신념 분석을 통한 문법 교수 역량 강화 방안 연구
CHENG, DONGMEI(2023. 2.)
웹툰 활용 복합양식 문식성 기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LI , YULU(2023. 2.)
한·중 중등국어교육에서의 현대 풍자소설 교육 연구
박예원(2023. 8.) 생태 소양 함양을 위한 에코페미니즘 시 교육 연구
임현주(2023. 8.)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연구: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Zheng, Yaying(2023. 8.) 한·중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나무꾼과 선녀>와 <견우직녀>를 중심으로
박경민(2024. 2.) 디지털 텍스트 탐색 전략 사용 사례 분석을 통한 읽기 교육 방안 연구
박소연(2024. 2.)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에코페미니즘 소설 교육 방안
최지연(2024. 2.) 현대소설교육에서의 ‘자기 이해’ 의미 연구: 가족 서사를 중심으로
He, Juan(2024. 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고서 쓰기 교재 재구성 방안 연구
WANG, LIMIAO(2024. 2.)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touch sl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