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 인용>
1. 서술식 인용
① 단독저자의 경우:
김혜영(2012)은......
이은용(2014)은......
구체적 내용 인용할 경우에는 쪽수를 표기한다.
한국어 논문에서 외국 저자명을 인용하는 경우:
첫 인용 시: 쥘(Gile 1994)의 노력 모델에 따르면......
동일문헌에 대한 두 번째 인용부터: 쥘(1994)은......
② 저자 2명의 경우: 한국 저자명은 ‘와/과’로, 영어 저자명은 ‘and’로 연결한다. 중국, 일본 저자명은 쉼표로 연결한다.
이범수와 김민영(2006: 23)에 따르면
그랜과 도즈(Gran and Dodds 1989)는
니촨빈과 류즈(倪传斌, 刘治 2005)는
③ 저자 3명 이상: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 ‘외’ 혹은 ‘et al.’로 표시한다.
김문형 외(2013)에 따르면
브라운 외(Braun et al. 2013)는
자오윈룽 외(赵云龙 외 2017)는
④ 문구의 인용: 인용문은 한글로 40 단어 이상인 경우, 좌우 20pt 여백준다. 짧은 인용문은 본문 내에서 인용 부호로 구분한다.
법과 언어가 결합하여 가질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에 대해 커버(Cover 1986: 1601)는 이렇게 묘사했다.
Legal interpretation takes place in a field of pain and death ... Legal interpretive acts signal and occasion the imposition of violence upon others. A judge articulates her understanding of a text, and as a result, somebody loses his freedom, his roperty, his children, even his life.
2. 소괄호 인용
① 소괄호 인용의 경우, 저자명 뒤에 쉼표를 쓰지 않는다. 외국 저자명은 원어로 표기하고 3명 이상 복수 저자의 경우 ‘et al.’ 혹은 ‘외’로 표시한다.
(정혜승 2018: 139)
(Schäffner 2004: 105)
(박정희와 김민 2007: 97)
(Denton and Hahn 1986)
(王彬, 欧阳铨 2002)
(김문형 외 2013)
(Curran et al. 2007)
(赵云龙 외 2017)
② 2편 이상의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연도순으로 배열한다. 한국어 논문에서 한국과 외국 저자명을 동시에 언급하는 경우, 한국 저자명부터 나열한다.
(이창수 2000; 김순미 2002; 김순영 2005)
(Denton and Hahn 1986; Dorsey 2008)
(袁良平, 汤建民 2007; 赵云龙 외 2017; 杨艳霞, 王湘玲 2019a; 杨艳霞, 王湘玲 2019b)
(송연석 2021: 70; Ahrens et al. 2021)
③ 기관 저자: 괄호 안에는 약칭을 쓴다. 동일 연도 출판물은 알파벳 소문자로 구분한다.
(CCHI 2020)
(CIOL n.d.(a))
(CIOL n.d.(b))
④ 번역서: 원저자명만 표기하고 번역서 역자 표기는 생략한다.
(Reiss and Vermeer 1984: 113)
⑤ 재인용: 가급적 원래 출처를 기재하고 피치 못할 경우에 재인용 표기한다.
(신지선 2017: 61에서 재인용)
(Denton and Hahn 1986에서 재인용)
⑥ 저자미상: 제목을 표기한다.
(Le Chant de la fidèle Chunhyang 1999)
⑦ 동영상, 영화 등: 영화나 드라마의 경우, 감독명을 표기한다.
(JTBC 2017)
(Langton et al. 2006)
<참고문헌 목록>
1. 학술지 논문:
한국 논문의 경우, 제목은 홑낫표(「 」)를 사용하고 학술지명은 겹낫표()를 사용한다. 영어 논문의 경우, 제목은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한다. 학술지명은 이탤릭체로 처리하고 모든 주요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① 단독저자:
이지은. (2015). 「경찰통역 실태와 경찰관의 인식 조사」. T&I Review 5: 93-120.
곽성희. (2001). 「정보성과 번역전환」. 번역학연구 2(1): 77-97.
Lee, J. (2009a). Conflicting views on court interpreting: examined through surveys of legal professionals and interpreters. Interpreting 11(1): 35-56.
Lee, J. (2009b). Interpreting inexplicit language during courtroom examination. Applied Linguistics 30(1): 93-114.
邱懋如. (2001). 「可译性及零翻译」. 中国翻译 22(1): 24-27.
藤井章雄. (1972). 「ニュース翻訳の一考察」. 時事英語学研究 第11号, 頁99-112. 時事英学研究学会.
② 공동저자: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 한국 저자명은 가운뎃점(・)으로 연결하고 중국, 일본 저자명은 쉼표로 연결한다. 영어 논문의 경우, 저자명은 모두 ‘성(last name)’ + 이름(이니셜) 순으로 작성하고 가장 마지막의 저자명 앞에 and를 쓴다.
김혜림・장애리・강려영. (2016). 「문화용어의 중국어번역 실태조사 및 번역 방안 연구」. T&I Review 6: 49-73.
Chang, C. and Schallert, D. L. (2007). The impact of directionality on Chinese/English simultaneous interpreting. Interpreting 9(2): 137-176.
Mitchell, J., Hayes, D. and Mills, M. (2009). Crossing school and university boundaries to reshape professional learning and research practice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36(3): 491-509.
王湘玲, 杨艳霞. (2019a). 「国内60年机器翻译研究探索——基于外语类核心期刊的分析」. 湖南大学学报 (社会科学版) 33(4): 90-96.
遠山仁美, 松原茂樹. (2007). 「英日同時通訳者発話におけるフィラーの出現と聴きやすさとの 関係」. 通訳翻訳研究 7: 39-50.
2. 저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저서명은 겹낫표()를 사용한다. 영어, 불어 저서명은 이탤릭체로 처리하고 모든 주요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이향. (2008). 번역이란 무엇인가 경기: 살림출판사.
이익섭・임홍빈. (1983). 국어문법론 서울: 학연사.
Gile, D. (2010). Basic Concepts and Models for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ing (2nd edn.).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Hale, S. B. (2007). Community Interpreting.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Lakoff, G. and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Genette, G. (1982). Palimpsestes: La Littérature au second degré. Paris: Seuil.
王华树. (2009). 翻译技术实践 北京:外文出版社.
原子郞. (2013). 定本宮凙賢治語彙辭典 筑摩書房.
3. 편저: 한국어로 된 편저의 경우, 편자(엮은이)명 뒤에 ‘(편저)’를 적는다. 영어 편저의 경우, 편저명은 이탤릭체로 처리하고 모든 주요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단일저자 편저는 ‘ed.’를, 복수저자 편저는 ‘eds.’를 표기한다. 복수저자 편저에 수록된 논문을 인용하는 경우, 첫 편자명은 ‘성(last name) + 이름(이니셜)’ 순으로 작성하고 두 번째 편자명부터는 ‘이름(이니셜) + 성’ 순으로 한다.
김흥규. (편저). (2002). 한국 고전문학과 비평의 성찰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Albin, L. and Bae, S. H. (근간). 「Our own Kim Hyesoon: Collaborative translation of A Drink of Red Mirror」. 한국문학 번역의 미래를 묻다(미확정 도서명)(조의연과 이상빈 편저). 파주: 김영사.
Hale, S., Ozolins, U. and Stern, L. (eds.) (2009). The Critical Link 5: Quality in Interpreting- A Shared Responsibility.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Gile, D. (1994). Methodological aspect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research. In Lambert, S. and B. Moser-Mercer (eds.), Bridging the Gap: Empirical Research i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39-56.
4. 학위논문:
최효은. (2016). 한영 특허 번역 품질 평가 연구: KPA와 MT의 특징과 기능에 따른 평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박사학위논문.
Saldanha, G. (2005). Style of Translation: An Exploration of Stylistic Patterns in the Translations of Margaret Jull Costa and Peter Bush. PhD dissertation, Dublish City University.
朴恩淑. (2012). 中韩语篇对比与翻译研究. 复旦大学博士论文.
5. 학술대회 발표자료 등:
김문형・장하연・조유미・신효필. (2013, 6월). KOSAC (Korean Sentiment Analysis Corpus): 한국어 감정 및 의견 분석 코퍼스.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발표논문.
Anderson, V. (1991, April). Training teachers to foster active reading strategies in reading-disabled adolescen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응웬티히엔. (2009). 한국 ‘구인회’와 베트남 ‘자력문단’의 시인 비교. 한국현대문학회 학술 발표회 자료집, 110-127.
Aranberri, N., Labaka, G., Diaz de Ilarraza, A. and Sarasola, K. (2014). Comparison of post-editing productivity between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lay users. In O’Brien, S., M. Simard, and L. Specia (eds.), Proceedings of the 11th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Machine Translation in the Americas. Association for Machine Translation in the Americas, 20-33.
6. 번역서: 원저가 한국 문헌인 경우, 참고문헌 정보를 한국 문헌 리스트에 포함시키고 원저가 외국 문헌인 경우, 참고문헌 정보를 외국 문헌 리스트에 포함시킨다. 외국 역자명은 모두 ‘이름(이니셜) + 성’ 순으로 작성한다.
박지원. (2019). 호질(La remontrance du tigre) (S. Bois, and E. Cho, Trans.). Decrescenzo éditeur.
Verschueren, Jef. (2003). 화용론 이해 (김영순, 지인영, 이정화 역). 서울: 동인.
Freud, S. (1970). An Outline of Psychoanalysis (J. Strachey, Trans.). New York: Norton.
Baigorri-Jalón, J. (2014). From Paris to Nuremberg: The Birth of Conference Interpreting (H. Mikkelson, and B. S. Olsen, Trans.). Amsterdam/Philadephia: John Benjamins.
7. 보고서:
한국콘텐트진흥원. (2020). 2019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트 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나주: 한국콘텐트진흥원.
EUATC. (2017). 2017 Language Industry Survey –Expectations and Concerns of the European Language Industry. Retrieved from http://www.digiling.eu/wp-content/uploads/2017/06/2017-Language-Industry-Survey-Report_6April2017.pdf on date month yyyy.
8. 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2009).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민중서림 편집국. (2006). 엣센스 국어사전(제6판). 서울: 민중서림.
Law, J. (2022). A dictionary of law. Oxford,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Merriam-Webster. (n.d.). Merriam-Webster.com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www.merriam-webster.com/ on date month yyyy.
9. 인터넷 자료: 인터넷 자료는 모두 출처와 검색 날짜를 표기한다. 저자 또는 편집자가 없는 경우, 기관명을 적는다.
동아일보. (2020). 코로나가 바꾼 영화 산업 지형도…넷플릭스 VS OTT 경쟁 본격화.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01212/104409885/1(2021.9.25.검색).
씨네21. (2006).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7616(2021.9.28.검색).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2021.9.2.검색).
Deseret News. (2016). A history of ‘Pride and Prejudice’ on TV and film. https://www.deseret.com/2016/2/5/20581914/a-history-of-pride-and-prejudice-on-tv-and-film#laurence-olivier-as-mr-darcy-and-greer-garson-as-elizabeth-bennet-in-the-1940-version-of-pride-and-prejudice(2021.9.28.검색).
AUSIT. (n.d.). AUSIT Guidelines for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with Interpreters (online) Retrieved from http://www.ausit.org/pics/HealthGuide08.pdf on date month yyyy.
10. 영화, DVD, 방송, 유튜브:
오만과 편견. 넷플릭스. 2020년 9월 출시.
Langton, S., Austen, J., Firth, C. and Ehle, J. (Directors). (2006).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오만과 편견. [DVD]. 서울: KBS Media.
JTBC. (2017). JTBC 잡스. 웹툰 작가 편. 2017년 6월 1일 방영분. https://tv.jtbc.joins.com/replay/pr10010459/pm10041803/ep10034107/view.
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_GSTI EWHA. (2022.12.8.). https://www.youtube.com/watch?v=0wtpyudynZk.
11. 신문, 잡지:
Delaney, K. J., Karnitschnig, M., and Guth, R. A. (2008, May 5). Microsoft ends pursuit of Yahoo, reassesses its online options. The Wall Street Journal, pp. A1, A12.
투고 시 연구자 윤리를 숙지하시어 논문을 투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연구자 여러분께서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의 과학기술인 알파캠퍼스에서 연구윤리교육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마이페이지를 통해 수료증을 발급받으실 수 있으며, 새로 수강하고자 하는 경우는 통합검색창에 "연구책임자"를 입력하면 수강할 과목이 나옵니다.
https://alpha-campus.kr